시카고 타자기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카고 타자기(드라마)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독립운동가들의 환생과 관련된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슬럼프에 빠진 베스트셀러 작가, 그의 열혈 팬, 유령 작가가 등장하여 80년에 걸친 우정과 사랑, 배신을 통해 과거의 진실을 밝혀나가는 앤티크 로맨스다. 유아인, 임수정, 고경표 등이 출연했으며, 진수완 작가가 극본을, 김철규, 김상우가 연출을 맡았다. 2017년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되었으며, 1930년대 경성 재현, 섬세한 연출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수완 시나리오 작품 - 스타 (드라마)
스타는 1997년 KBS 2TV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최길규, 표민수 PD 공동 연출, 진수완 극본, 김호진, 엄정화, 이훈 등이 출연했으나 캐스팅 난항과 저조한 시청률로 조기 종영되었다. - 진수완 시나리오 작품 - 경성스캔들
《경성스캔들》은 대한제국 병합 시대 1930년대 경성을 배경으로, 모던 보이 선우완이 독립운동가 나여경과의 사랑을 통해 독립운동에 헌신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시대적 갈등과 청춘들의 성장, 그리고 사랑의 의미를 담고 있다. - 일제강점기 역사 드라마 - 김구 (드라마)
김구의 일생을 그린 KBS 대하드라마 《김구》는 김상중과 조상건이 김구 역을 맡았고 안중근, 이완용, 이승만 등 주요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승만 역 배우의 범죄 혐의 및 유족의 명예훼손 고소 등 논란이 있었다. - 일제강점기 역사 드라마 - 여명의 눈동자
김성종의 소설을 원작으로 송지나가 극본을 쓰고 김종학 PD가 연출한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카포티
베넷 밀러 감독의 영화 《카포티》는 트루먼 카포티가 소설 《냉혈》을 집필하며 겪는 고뇌와 갈등, 그리고 클러터 가족 살인 사건의 주범 페리 스미스와의 관계를 통해 1950년대 미국 사회와 인간 심리를 탐구하는 전기 드라마이다. -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 - 냉동어
냉동어 문서는 아직 줄거리에 대한 내용이 없으며, 위키문헌에서 관련 원문 자료를 확인하고 지만지 지식공유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작성되었다.
시카고 타자기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판타지 로맨스 코미디 |
작가 | 진수완 |
연출 | 김철규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최진희 |
주연 | 유아인 임수정 고경표 |
음악 작곡가 | 남혜승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에피소드 수 | 16 |
책임 프로듀서 | 김진이 박지영 |
프로듀서 | 김기재 |
촬영 | 박재홍 권영준 |
편집 | 김나영 |
카메라 | 싱글 카메라 |
실행 시간 | 70분 |
제작사 | THE UNICORN, 스튜디오 드래곤 |
방송사 | tvN |
방송 기간 | 2017년 4월 7일 ~ 2017년 6월 3일 |
원제 | |
한글 | 시카고 타자기 |
한자 | 시카고打字機 |
로마자 표기 | Sikago Tajagi |
제작 | |
연출 | 김철규, 김상우 |
조연출 | 곽정후, 김정욱, 윤현기, 김근희, 김미라 |
각본 | 진수완 |
출연 | |
출연자 | 유아인, 임수정, 고경표, 곽시양 외 |
음악 | |
여는 곡 | 시카고 타자기 |
닫는 곡 | Satellite (1~2, 4, 9~10, 14회) 아주 오래된 기억 (3, 11회) 우리의 얘기를 쓰겠소 (5~6, 8, 12~13, 15회) Be My Light (7회) Come With Me (16회) |
관련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시카고 타자기 공식 홈페이지 |
2. 제목의 의미
- 톰프슨 기관단총의 별명을 뜻한다. 극 중 서휘영과 류수현이 일제에 항거하기 위해 이 총을 사용했다.[1]
- 서휘영의 유작(遺作)으로, 작가 본인과 류수현, 신율의 이야기를 담은 자전적 소설이다.[1]
- 모바일에 연재됐던 한세주의 소설이자, 이 소설을 활용하는 원소스 멀티유즈 프로젝트의 이름이기도 하다. 한세주가 전설, 유진오와 전생의 기억을 공유하면서 집필했다. 세 명이 모두 기억을 찾은 후 유진오는 전생을 기반으로 서휘영의 유고 소설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한세주는 전생과 다른 내용을 담아 소설을 다시 썼고, 동명의 단행본으로 출간했다.[1]
- 신율의 영혼이 봉인된 채 시카고에서 발견된 타자기를 말한다. 서휘영은 이 타자기로 소설을 집필했다. 신율이 서휘영의 유언을 따라 그의 소설을 이어 쓸 때도 이 타자기를 사용했다.[1]
3. 등장인물
- '''유아인''' : 한세주 역, 고민하는 베스트셀러 작가.
- '''임수정''' : 전설 역, 한세주의 열렬한 팬.
- '''고경표''' : 유진오 역, 수수께끼의 고스트 라이터.
- '''곽시양''' : 백태민 역, 인기 작가이자 한세주의 라이벌.
- '''양진성''' : 마방진 역, 전설의 소꿉친구.
- '''전수경''' : 왕방울 역, 마방진의 어머니.
- '''천호진''' : 백도하 역, 백태민의 아버지.
- '''조경숙''' : 홍소희 역, 백태민의 어머니.
3. 1. 주요 인물
- 유아인 : 한세주 / 서휘영 역 (아역: 최민영)
- '''현생''': 베스트셀러 작가. 문단의 아이돌로 불리며 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지만, 원고 압박과 황색언론, 루머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슬럼프에 빠졌다가 전생을 기억하면서 삶의 변화를 느낀다.[6]
- '''전생''': 소설가이자 독립운동가.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수장이다. 신분을 감추기 위해 주색잡기에 능한 한량 행세를 하며, 신문에 연재하는 소설은 동지들에게 보내는 암호문이다. 류수현(임수정)을 사랑하지만 자신의 위치 때문에 감정을 숨기고 거리를 두려 한다.
- 임수정 : 전설 / 류수현 역 (아역: 최명빈, 조민아)
- '''현생''': 수의사. 작가 덕후이자 한세주(유아인)의 열혈 팬이다. 국가대표 사격 선수였으나 총만 잡으면 이상한 환영이 보여 그만두었다. 광우병 사건으로 수의사 일도 그만두었다가 다시 시작하며, 한세주를 만나 트라우마를 조금씩 극복해 나간다.[7]
- '''전생''': 가수이자 독립운동가.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조직원이자 저격수. 신분을 숨기기 위해 카르페디엠의 가수 '아나스타샤'로도 활동한다. 서휘영(유아인)을 사랑하지만, 일부러 냉정하게 대하는 그와 서로 마음을 확인하지 못하고 엇갈린다.
- 고경표 : 유진오 / 신율 역
- '''현생''': 유령. 세주의 해외 팬 사인회가 열린 카페에 있던 타자기 속에 영혼이 봉인돼 있었다. 슬럼프에 빠진 한세주(유아인)를 대신해 소설을 쓰다가 그의 눈에 보이게 된다. 자신이 왜 죽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소설을 완성해야 한다고 말하며, 한세주와 함께 소설 집필을 위해 노력한다.
- '''전생''': 카르페디엠 사장이자 독립운동가. 경성제대 법학부 출신으로 친구 서휘영(유아인)과 함께 항일운동을 한다. 친일파 집안임을 역이용해 카르페디엠을 통해 올린 수익을 독립군 자금으로 사용한다. 류수현(임수정)이 저격수가 되는 것을 걱정했으나 그녀에게 사격을 가르쳐 주기도 한다.
- 곽시양 : 백태민 / 허영민 역 (아역: 손상연)
- '''현생''': 소설가이자 대학 강사. 단편소설 '인연'으로 한세주(유아인)보다 2년 먼저 신춘문예에 당선됐지만, 실은 세주의 원고를 훔쳐다 쓴 것이다. 세주와 함께 큰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차기작들은 데뷔작에 못 미친다는 반응을 듣고 있기 때문에 세주에 대한 열등감이 강하다. 같은 이유로 전설(임수정)에게 일부러 접근한다. '인연'에 대한 비밀이 점점 드러나게 되자 세주를 해치려 한다.
- '''전생''': 일제의 밀정. 위기에 처한 류수현(임수정)을 도와주며 조선청년해방연맹 일원들에게 접근한다. 서휘영(유아인)과 신율(고경표)에게는 자신을 시인이라고 소개했다. 조선청년해방연맹을 와해하고 수장을 잡기 위해 노력한다.

3. 2. 조연
- 유병재: 사슴 관리인 역 (2화)[16]
- 최덕문: 전설의 아버지 역 (3화 & 16화)[16]
- 최송현: MC 역 (3화)[16]
- 우주소녀: 본인 역 (3화)[16]
- 전미선: 임소윤 / 마담 소피아 역 (9–11화 & 13–16화)[16]
- 우도임: 조상미 역 (10–15화)[16]
- 이규복한국어: 송종욱 역 - LK잡지 기자[16]
- 김현숙 (1971년생 배우)|김현숙한국어: 수의사 역 - 동물병원 원장. 전설의 선배[16]
- 심민한국어: 미영 역 - 황금곰 출판사 사원[16]
- 김성훈 (배우)|김성훈한국어: 이정봉 역 - 황금곰 출판사 사원[16]
- 박지훈: 전두엽 역 - 황금곰 출판사 신입사원[16]
- 하경|김기수한국어: 조상철 역 - 세주의 스토커[16]
- 장격수: 사채업자 역[16]
- 강학수[16]
- 전재현[16]
- 박선임: 한나 킴 역 - 시카고의 카페 알바생[16]
- 정연주: 방진의 동료 직원 역[16]
- 나혜진: 방진의 동료 직원 역[16]
- 최서연: 설의 동료 알바생 역[16]
- 조영훈: 동물병원 수의사 역[16]
- 강지훈[16]
- 최교식: 세주네 정원사 역[16]
- 이상홍: 스토커 사건 수사관 역[16]
- 정영도: 방송기자 역[16]
- 이지수: 황금곰 출판사 사원 역[16]
- 권진란: 황금곰 출판사 사원 역[16]
- 김숙인[16]
- 전민협[16]
- 윤재인[16]
- 최현준: 1930년대 사복경찰 역[16]
- 김은지[16]
- 홍대성: 카르페디엠의 요진보 역[16]
- 김영아[16]
- 정병호: 양호필 역 - 세주의 신경정신과 담당의[16]
- 차건우: 율이네 집사 역[16]
- 윤부진[16]
- 이슬아: 카페 알바 역[16]
- 박초아[16]
- 이지윤: 견주 역[16]
- 서혜진[16]
- 이유진[16]
- 변주현: 1920년대 경무국 부장 역[16]
- 차순형: 1920년대 사복경찰 역[16]
- 김하윤[16]
- 권정현[16]
- 김우진[16]
- 윤복성: 프로젝트 '시카고 타자기'의 투자자 역[16]
- 전이랑: 장기봉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감승민: 양형식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이태윤: 남자 역 - 휘영에게 시간을 물어 작전개시를 확인한다.[16]
- 이성원[16]
- 김도형[16]
- 이선영[16]
- 박지홍: 취객 역 - 공연 중인 수현을 위협해 싸움을 일으킨다.[16]
- 김대건: 용의자 역[16]
- 김남호[16]
- 김종호[16]
- 김태훈[16]
- 장병수[16]
- 강동윤: 조 선생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전진기: 경무국장 역[16]
- 임지민: 기생 역[16]
- 김홍현: 학생1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16]
- 우현욱: 학생2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16]
- 최다영: 학생3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16]
- 김사훈[16]
- 해선[16]
- 김광태: 기자3 역[16]
- 김용진[16]
- 하루비: 공원의 아이 역[16]
- 이두석: 강 동지(동지1)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신원우: 이 동지(동지2)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이원진: 동지3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주동희: 경찰 역 - 납치된 설을 찾아낸다.[16]
- 임호준: 형사 역[16]
- 강성한[16]
- 추연규[16]
- 호동이: 견우 역 - 개[16]
3. 2. 1. 한세주 주변 인물
- '''조우진''' : 갈지석 역
황금곰 출판사의 사장이다. 갓 등단한 세주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그에게 출판사의 창립 작품을 써달라고 제안했다. 세주를 자신의 '골든에그(황금알)'라고 표현하면서 세주에게 끊임없이 압박을 주는 장본인이다. 돈의 논리를 쫓고 있지만 세주의 집필통을 잘 이해하며 염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오나라''' : 강 비서 역
3. 2. 2. 전설 주변 인물
: 전설의 소꿉친구이자 드라마 작가 지망생이다. 혼자가 된 전설과 함께 살며 친자매처럼 지냈다. 작가가 되기 위해 습작을 하며 서점과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글빨을 내려달라며 신에게 기도하다가 신빨이 내려 유령인 유진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 '''전수경''' : 왕방울 역
: 마방진의 어머니이자 무속인. 최근에는 신빨이 떨어져 손님이 줄었다. 어린 전설을 자신의 집 성수청에 데려온 후 친딸처럼 키웠다. 우연히 만난 한세주에게 그의 관상을 읊어 주었으며, 전생의 환영으로 힘들어하는 전설을 진심으로 염려한다. 친딸 마방진이 귀신을 볼 줄 아는 것을 알고 걱정한다.
: 전설과 마방진의 소꿉친구. 이탈리안 레스토랑 '리까르도'의 오너 셰프이다. 짝사랑하고 있는 전설을 '세뇨리나'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전설과 가까워지는 한세주를 질투한다.
- '''지대한''' : 원만해 역 - 원대한의 아버지
3. 2. 3. 백태민 주변 인물
- 천호진 : 백도하 역 - 한국 문학의 거장으로, 태민의 아버지이다. 세주의 아버지와 친구 사이였고, 세주의 어머니를 사랑했다.[1] 고아가 된 세주를 자신의 집으로 들인 후 든든한 후원자가 되었지만, 아들 태민이 세주의 원고 '인연'을 훔쳐 등단한 것을 눈감아주었다.[1] 이후 세주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태민과 소희와의 관계도 역시 좋지 못하다.[1] 세주에게 미안한 감정을 갖고 있고 잘못된 만행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한다.[1]
- 조경숙 : 홍소희 역 - 도하의 아내이자 태민의 어머니이다.[1] 남편이 아직도 첫사랑인 세주의 어머니를 잊지 못했다고 생각하며, 세주가 도하의 친아들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1] 이러한 이유로 누구보다도 세주를 증오하며, 송 기자와 모략하는 등 세주를 몰락시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한다.[1]
3. 2. 4. 그 외 인물
- 오나라: 강 비서 역 - 세주의 비서[16]
- 이규복|이규복한국어 : 송종욱 역 - LK잡지 기자[16]
- 김현숙 (1971년생 배우)|김현숙 (1971년)|김현숙한국어 : 수의사 역 - 동물병원 원장. 전설의 선배[16]
- 심민|심민한국어 : 미영 역 - 황금곰 출판사 사원[16]
- 김성훈 (배우)|김성훈 (배우)|김성훈한국어 : 이정봉 역 - 황금곰 출판사 사원[16]
- 박지훈 : 전두엽 역 - 황금곰 출판사 신입사원[16]
- 하경|김기수|하경한국어 : 조상철 역 - 세주의 스토커[16]
- 장격수 : 사채업자 역[16]
- 강학수[16]
- 전재현[16]
- 박선임 : 한나 킴 역 - 시카고의 카페 알바생[16]
- 정연주 : 방진의 동료 직원 역[16]
- 나혜진 : 방진의 동료 직원 역[16]
- 최서연 : 설의 동료 알바생 역[16]
- 조영훈 : 동물병원 수의사 역[16]
- 강지훈[16]
- 최교식 : 세주네 정원사 역[16]
- 이상홍 : 스토커 사건 수사관 역[16]
- 정영도 : 방송기자 역[16]
- 이지수 : 황금곰 출판사 사원 역[16]
- 권진란 : 황금곰 출판사 사원 역[16]
- 김숙인[16]
- 전민협[16]
- 윤재인[16]
- 최현준 : 1930년대 사복경찰 역[16]
- 김은지[16]
- 홍대성 : 카르페디엠의 요진보 역[16]
- 김영아[16]
- 정병호 : 양호필 역 - 세주의 신경정신과 담당의[16]
- 차건우 : 율이네 집사 역[16]
- 윤부진[16]
- 이슬아 : 카페 알바 역[16]
- 박초아[16]
- 이지윤 : 견주 역[16]
- 서혜진[16]
- 이유진[16]
- 변주현 : 1920년대 경무국 부장 역[16]
- 차순형 : 1920년대 사복경찰 역[16]
- 김하윤[16]
- 권정현[16]
- 김우진[16]
- 윤복성 : 프로젝트 '시카고 타자기'의 투자자 역[16]
- 전이랑 : 장기봉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감승민 : 양형식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이태윤 : 남자 역 - 휘영에게 시간을 물어 작전개시를 확인한다.[16]
- 이성원[16]
- 김도형[16]
- 이선영[16]
- 박지홍 : 취객 역 - 공연 중인 수현을 위협해 싸움을 일으킨다.[16]
- 김대건 : 용의자 역[16]
- 김남호[16]
- 김종호[16]
- 김태훈[16]
- 장병수[16]
- 강동윤 : 조 선생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전진기 : 경무국장 역[16]
- 임지민 : 기생 역[16]
- 김홍현 : 학생1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16]
- 우현욱 : 학생2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16]
- 최다영 : 학생3 역 - 태민을 향해 비난하는 학생[16]
- 김사훈[16]
- 해선[16]
- 김광태 : 기자3 역[16]
- 김용진[16]
- 하루비 : 공원의 아이 역[16]
- 이두석 : 강 동지(동지1)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신원우 : 이 동지(동지2)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이원진 : 동지3 역 - 조선청년해방연맹의 일원[16]
- 주동희 : 경찰 역 - 납치된 설을 찾아낸다.[16]
- 임호준 : 형사 역[16]
- 강성한[16]
- 추연규[16]
- 호동이 : 견우 역 - 개[16]
4. 줄거리
1930년대 일제 치하를 치열하게 살다간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서휘영과 가수이자 저격수 류수현이 각각 슬럼프에 빠진 베스트셀러 작가 한세주와 그의 열혈팬이자 문인 덕후 전설로 환생하고, 전생의 둘과 함께 했던 신율이 유령작가 유진오로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앤티크 로맨스다.[1]
전생의 배경은 주로 1933년이며 항일단체 조선청년해방연맹과 이들의 숨은 근거지인 카르페디엠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현생의 주인공들이 전생의 사건들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슬럼프와 트라우마를 딛고 현재에 충실히 살아간다는 카르페 디엠을 주제의식으로 지니고 있는 드라마다이다.[2]
1930년대 일제강점기 당시 항일 투사였던 세 사람이 환생하여, 슬럼프에 빠진 베스트셀러 작가, 그의 열혈 팬, 그리고 유령 작가로 현생을 살아가는 이야기를 그린다. 작가, 유령 작가, 그리고 팬으로 이루어진 세 사람이 80년 동안 이어진 우정과 사랑, 그리고 배신을 통해 그들을 괴롭히는 과거의 진실을 밝혀내는 이야기이다.[3][4]
한류 스타 못지않은 인기 베스트셀러 작가 한세주(유아인)는 번아웃 증후군에 시달리는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미국 시카고에서 낡은 타자기를 만나게 되고, 이후 이 타자기가 세주의 집으로 배달된다. 그리고 그 이후 1930년대의 환영을 보게 된다. 어느 날, 세주가 교통사고를 당해 부상으로 집필 작업을 할 수 없게 된 사이에, 누군가가 세주를 대신해 "시카고 타자기"라는 연재를 시작한다. 그 소설이 놀랍게도 큰 히트를 기록하고, 완전히 슬럼프에 빠진 세주는 작가로서의 자신감을 잃어간다.[5]
게다가 자신이 유령 작가라고 주장하는 수수께끼의 남자 유진오(고경표)가 나타나 "슬럼프를 극복할 때까지 소설은 자신이 쓸 테니, 그 대신 내 여자에게 손대는 남자들을 막아달라"고 제안한다. 진오의 "내 여자"는 세주의 열렬한 팬이자 스토커가 아닌가 의심받는 전설(임수정)이었다. 진오를 대신해 설을 지키던 세주였지만, 이상하게도 점점 그녀에게 끌리는 자신을 깨닫게 된다.[6]
5. 제작진
- 극본: 진수완[8][9]
- 연출: 김철규, 김상우
- 조연출: 곽정후, 김정욱, 윤현기, 김미라(5회~16회), 김근희(1~4회)
- 제작: 박지영
- 책임프로듀서: 김진이
- 프로듀서: 김기재
- 제작총괄: 김경준
- 제작프로듀서: 박정훈, 김운영
- 촬영: 박재홍, 권영준, 윤석조(9회~16회), 송혜경(1회~8회)
- 조명: 김승춘, 이강헌
- 미술: 이강현
- 동시녹음: 문인설, 정인호
- 음악: 남혜승
- 편집: 김나영
6. OST
OST영어는 드라마의 분위기를 한층 더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음은 OST 목록이다.
순서 | 곡명 | 부제 | 작사 | 작곡 | 가수 | 재생 시간 |
---|---|---|---|---|---|---|
1 | 시카고 타자기 | 남혜승, 박상희 | 3:05 | |||
2 | Satellite영어 | 위성 | 남혜승, 박상희, Jello Ann영어 | 남혜승, 박상희 | 솔튼페이퍼 | 3:52 |
3 | Blooming Memories영어 | 아주 오래된 기억 | 남혜승, 박진호, MIYO영어 | 남혜승, MIYO영어 | 백예린 | 3:43 |
4 | Writing Our Stories영어 | 우리의 얘기를 쓰겠소 | CuzD영어, Ricky영어, Dona영어 | CuzD영어, Ricky영어, Dona영어 | SG 워너비 | 3:59 |
5 | Be My Light영어 | Kevin Oh영어 | Daniel Davidsen영어, Katrine "Neya" Klith영어, Peter Wallevik영어, Singing Beetle영어 | Kevin Oh영어 | 3:48 | |
6 | Come With Me영어 | 김희진, 조혜음 | 남혜승, 박상희 | 보니 푸에리 | 3:58 | |
7 | Time Walk영어 | Jello Ann영어, 남혜승 | 남혜승, 박상희 | 보니 푸에리 | 3:30 | |
8 | Satellite영어 | Inst.영어 | 남혜승, 박상희 | 3:52 | ||
9 | Blooming Memories영어 | Inst.영어 | 남혜승, MIYO영어 | 3:43 | ||
10 | Writing Our Stories영어 | Inst.영어 | CuzD영어, Ricky영어, Dona영어 | 3:37 | ||
11 | Be My Light영어 | Inst.영어 | Daniel Davidsen영어, Katrine "Neya" Klith영어, Peter Wallevik영어, Singing Beetle영어 | 3:48 | ||
12 | Ghostwriter Yoo Jin-oh영어 | 유령작가 유진오 | 남혜승, 박상희 | 2:36 | ||
13 | Aim the Gun영어 | 총을 겨누다 | 남혜승, 박상희 | 3:02 | ||
14 | Han Se-joo & Jeon Seol영어 | 한세주의 전설 | 남혜승, 박상희 | 3:21 | ||
15 | Time Travel영어 | 시간여행 | 남혜승, 박상희 | 3:12 | ||
16 | Remember the Novel We Wrote영어 | 그날의 소설을 함께 기억해 | 남혜승, 박상희 | 3:10 |
7. 시청률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한다.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17] [18]
케이블 채널 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특히, 1930년대 경성을 섬세하게 재현하고, 전생과 현생을 오가는 독특한 설정으로 호평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유아인·임수정·고경표, '시카고 타자기' 확정 "이번주 리딩"
http://isplus.live.j[...]
Ilgan Sports
2017-02-21
[2]
웹사이트
tvN's 'Chicago Typewriter' still needs to prove itself
http://english.yonha[...]
2017-04-10
[3]
웹사이트
Can 'Chicago Typewriter' break time-slip drama mold?
http://www.koreahera[...]
2017-04-06
[4]
웹사이트
'Chicago Typewriter' to air in April, starring Yoo Ah-in, Im Soo-jung, Go Kyung-pyo
http://kpopherald.ko[...]
2017-03-06
[5]
웹사이트
(LEAD) tvN doubles down on time-slip genre with 'Chicago Typewriter'
http://english.yonha[...]
2017-04-05
[6]
웹사이트
Yoo Ah-in lands lead in tvN drama
http://koreajoongang[...]
2017-02-22
[7]
웹사이트
Actress Im Soo-jung Returns to TV After More Than a Decade
http://english.chosu[...]
2017-04-07
[8]
웹사이트
Popular Screenplay Writer Jin Soo-wan to Return with a New tvN Drama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16-12-13
[9]
웹사이트
[단독]유아인, tvN '시카고 타자기' 주인공
http://isplus.live.j[...]
Isplus.live.joins.com
2017-02-21
[10]
웹사이트
Im Soo-jung returns for the first time in 13 years with tvN "Chicago Typewriter"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17-04-02
[11]
웹사이트
Time Traveling to Retro Seoul of Chicago Typewriter
http://english.visit[...]
2017-04-28
[12]
웹사이트
Nielsen Korea
http://www.nielsenko[...]
2017-04-08
[13]
웹사이트
TNMS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tnms.tv/r[...]
2016-09-27
[14]
뉴스
‘시카고타자기’ 서머타임 도입 “9회부터 8시30분 방송” [공식]
http://sports.donga.[...]
동아닷컴
2017-05-03
[15]
웹인용
프로그램 소개
http://program.tving[...]
2017-05-28
[16]
문서
박지훈 (1989년 4월 19일 ~ 2020년 5월 11일) 캐스팅 출연했으나, 3년 뒤인 위암으로 사망했다.
[17]
웹사이트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유료플랫폼 전국 기준.
http://www.nielsenko[...]
2017-05-13
[18]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http://www.tnms.tv/r[...]
[19]
뉴스
‘시카고 타자기’ 임수정 “실제 책과 글 좋아해…극 중 류수현‧전설 마음 공감”
http://tvdaily.asiae[...]
티브이데일리
2017-05-11
[20]
뉴스
'시카고타자기' 개 캐스팅 비화.."길거리 캐스팅..활약 계속될 것"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17-04-29
[21]
뉴스
유아인X임수정X고경표 ‘시카고 타자기’, 오늘(2일) 첫 촬영(공식)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7-03-02
[22]
뉴스
'시카고 타자기' 영상미 돋보이는 촬영 세트장의 비밀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7-04-22
[23]
뉴스
[‘시타’②] 이강현 미술감독, 드라마의 비주얼을 만들다 (인터뷰)
http://www.sedaily.c[...]
서울경제
2017-05-14
[24]
뉴스
'시카고 타자기' 임수정, 녹음실 부스서 열창 "노래 녹음 완료♥"
http://www.enewstoda[...]
이뉴스투데이
2017-04-16
[25]
뉴스
‘시카고 타자기’·‘발칙한 동거’ 오늘(28일) 대선 토론회 중계로 결방
http://star.mk.co.kr[...]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2017-04-28
[26]
뉴스
허지웅, ‘시타’ 스페셜 내레이션…“임수정과 인연 추가” [공식입장]
http://sports.donga.[...]
동아닷컴
2017-04-27
[27]
뉴스
tvN 측 “‘시카고 타자기’ 이번주 결방 확정, 6일 스페셜 편성”(공식입장)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7-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